fnctId=curriculum,fnctNo=80
NO | 학년 | 학기 | 교과목구분 | 교과목명 | 교과목번호 | 학점 |
---|
- 패션디자인발상특론(Advanced Fashion Design)
패션디자인의 조형적 특성과 창의적인 아이디어 발상법 및 치유적 의미와 효과를 연구함으로써 패션디자인테라피의 적용가능성을 탐색한다. - 색채심리및테라피연구(Advanced Color Psychology and Therapy)
색채의 심리적, 정서적 및 시각적 특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색채심리와 테라피에 대한 관련성을 연구함으로써 패션컬러테라피를 위한 색채 활용법에 관하여 연구한다. - 패션사회심리연구(Advanced Fashion Social Psychology)
패션과 관련된 사회 심리학적 측면과 패션테라피와의 관련성을 탐색함으로써 패션심리와 패션테라피에 관한 객관적 관점과 주관적 관점을 통합적으로 탐구한다. - 패션이미지메이킹연구(Advanced Fashion Image Making)
신체외모에 대한 심미적 관점과 사회심리학적인 관점을 관련지어 탐색함으로써 내외적인 패션이미지메이킹 방법과 테라피 효과에 대하여 연구한다. - 체형과의복(Somatotype & Apparel)
의복의 기초가 되는 인체의 크기와 형태를 분석하고 치수체계를 이해함으로써 다양한 체형에 적합한 의복제작에 활용되도록 한다. - 의복구성특론(Advanced Clothing Construction)
의복의 구성원리를 응용하여 창의적인 패턴 설계방법을 이해하고 이를 의복 디자인에 적용하여 의복을 설계한다. - 특수의복연구(Clothing for Special Needs)
특수체형(신체장애자, 노인, 임산부 등)이나 다양한 작업환경 종사자를 대상으로 그들의 요구와 생활동작에 적합한 의복을 디자인하고 설계하는 방법을 익힌다. - 고급패턴연구(Advanced Pattern Making)
란제리, 니트 등 다양한 소재를 이용한 패턴제작과 오뜨꾸뛰르에 나타난 디자인의 패턴 제작법을 익힌다. - 피복과학특론(Clothing Science)
주어진 환경에서의 과학적인 피복생활을 통해 쾌적감의 극대화를 위한 문제해결 및 판단능력을 함양한다. - 패션소재구조연구(Structure of Textile Materials)
패션상품에 응용되는 패션소재의 종류와 구조적 특징을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운다. - 소재디자인CAD(Textile Design CAD)
패션소재디자인의 이론적 지식과 활용능력을 CAD를 통해 증대시킨다. - 소재기획특론(Textile Fabrication)
패션산업에 활용되는 다양한 소재들을 생산에서부터 유통과정까지 기획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운다. - 패션마케팅특론(Advanced Fashion Marketing)
소비자의 요구를 파악하고 이에 합당한 생산과 유통이 이루어지도록 패션의 이론과 마케팅의 이론 및 패션마케팅의 독특한 특성을 학습한다. - 마케팅이슈와트렌드(Marketing Issue & Trend)
마케팅의 흐름을 이해하기 위하여 최신 마케팅 이슈와 트렌드를 환경적 측면, 패션산업적인 측면, 연구경향의 측면에서 분석 고찰한다. - 패션브랜드관리(Fashion Brand Management)
패션산업 내에서 등장하는 성공적인 브랜드의 전략적 관리를 공부하며, 브랜드의 핵심가치의 창출 및 전달, 브랜드의 전략적 경영을 통한 브랜드 자산의 구축을 내용으로 한다. - 소비자행동연구(Advanced Consumer Behavior)
소비자 심리와 행동에 관해 주제별로 기존의 이해의 틀을 파악하고 새로운 연구흐름과 마케팅 적용 방안을 세미나 방식으로 탐구한다. - 복식미학특론(Advanced Aesthetics of Costume)
20세기 이후에 나타난 복식의 조형성과 美의 원천에 대한 탐색을 통해 패션의 형식적, 심미적, 표현적, 상징적 의미와 의미변환 과정 등을 분석함으로써 현대패션의 미적 패러다임을 연구한다. - 서양복식문화사특론(Advanced History of Western Costume Culture)
고대로부터 현대 이르기까지 서양복식의 변천과정을 사회·문화적, 복식의 조형적 관점에서 강의하고 이에 관련된 논문을 발표하고 토론함으로써 체계적인 지식을 습득하고 현대복식에 적용가능성을 연구한다. - 세계민속복식연구(Research in World Folk Costume)
세계 민속복식을 의복의 유형별로 분류하고 이에 따른 의복 특성에 대해 의복의 장식적, 구조적, 기능적 측면을 중심으로 상호 비교 고찰함으로써 복식에 대한 다양한 경험을 시도하고 이를 현대복식에 접목시킬 수 있는 디자인 능력을 개발시킨다. - 현대패션과예술특론(Advanced Modern Fashion and Art)
현대사회의 복식문화를 형성하고 있는 복식의 의미와 기능 및 변화요인과 복식과 관련된 인간행동을 사회 심리적, 문화적인 측면에서 분석함으로써 복식문화의 새로운 가치를 창출해내는 의미와 패러다임에 관한 이해를 높인다. - 입체구성특론(Advanced Clothing Construction by Draping)
오트꾸뛰르 작품의 패턴디자인 변형 및 활용법을 분석하고, 디자인, 패턴, 봉제 등의 일련의 과정에 따른 세미나를 통하여 입체구성법을 연구한다. - 어패럴패턴CAD(Apparel Pattern CAD)
컴퓨터를 이용한 패턴 메이킹으로 의복을 제작하고 업체에서 사용되는 방식의 그레이딩 및 마킹법을 익힌다. - 남성복연구(Advanced Study for Men's Wear)
남성복에 대한 구성학적 이해와 아이템별 패턴디자인 및 고도의 기술을 요하는 테일러링을 연구한다. - 3D버추얼클로딩연구(3D Virtual Clothing)
‘3D가상착의’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여 디지털패션제조 CAD 기술을 학습한다. - 패션유통연구(Advanced Fashion Retailing)
패션산업의 유통부분에 초점을 맞추어 유통경로 및 특성을 공부하고 패션리테일링 분야의 바이어를 중심으로 발생하는 상품 구매 및 판매에 대한 내용을 학습한다. - 패션상품특론(Special Topics in Fashion Merchandising)
패션제품에 대한 이해를 통하여 국내외 패션상품 기획 및 판매와 관련된 이슈 및 문제점을 파악한다. 이론적 근거를 토대로 패션상품 기획 및 판매의 발전 전망 및 효과적인 전략을 제시할 수 있다. - 의류학연구설계(Research Design in Clothing and Textiles)
의류학 분야 연구에 필요한 질적, 양적 연구설계에 대한 이론적 지식을 습득하고, 관련 분야의 학술논문에서 실제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연구 방법을 분석, 평가함으로써 연구설계방법을 체계적으로 이해한다. 또한 자신의 관심분야를 대상으로 연구설계를 실습해 봄으로써 연구과정을 숙지한다. - 의류학연구통계분석프로그램활용(Statistical Analysis in Clothing and Textiles)
연구설계 과정에서 필요한 변수, 측정, 척도, 자료수집 등에 대한 세부 지식을 터득하고 자료의 통계분석 기법들을 체계적으로 이해함으로써 자료 분석 기법의 선정 그리고 분석 및 결과 해석에 대한 능력을 습득한다. - 논문연구(Thesis Research)
학위논문 작성과정의 세부적 지도를 수행한다.